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안구건조증 예방법 알려드립니다!

안구건조증 예방법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안구건조증 예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요즘같은 환절기가 되면 바람 때문에 눈이 뻑뻑한 느낌이 많이 듭니다. 또 추운 겨울철, 실내 추운 공기 때문에 히터라도 켜게 되면 눈이 시렵고 따가워서 눈을 뜨지 못하는 증상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5년 안구건조증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는 무려 2,118,931명 이라고 합니다.

 

안구건조증이란?


 

 

 

눈물층에 이상이 생겨 또는 눈물이 부족해서 눈을 촉촉하게 적셔주지 못해서 생기는 질환.

안구 표면이 손상되고 눈이 시리고 자극감이나 이물감 건조감 같은 자극증상을 느끼게 되는 눈의 질환.

 


 

안구건조증의 증상

 

 

 

눈이 시리고 모래알이 들어간 듯 뻑뻑해지는 느낌을 받습니다.

눈알이 빠질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눈에서 실 같은 분비물이 생깁니다. 

쉽게 눈이 피로해서 잘 뜰수가 없고, 눈을 감고 있으면 편하며 눈을 뜨면 증상이 심해집니다.

눈이 콕콕 쑤시는 통증도 유발합니다.

외관 상 눈이 약간 충혈되어 있습니다.

아침에 눈을 뜨기 어려우며 눈꼽이 발생합니다. 

눈꺼풀이 무겁고 머리까지 아픕니다.

지속적인 시각 집중이 필요한 독서나 컴퓨터 작업을 하기가 어려워집니다.

 

모든 증상이 해당되지 않더라도 이 중 몇개의 증상이라도 해당이 된다면 안구건조증일 가능성이 큽니다.

 

안구건조증을 방치하게 되면 각막염이나 각막궤양 등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시력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남성이 비해 여성이 안구건조증 발병이 2배 이상 높습니다. 이는 과도한 눈 화장이나 서클렌즈의 사용 때문입니다.

 

눈이 뻑뻑해지면 인공 눈물을 눈에 넣게 되는데 이러한 인공눈물의 사용은 일시적인 효과에 도움이 될 지 모르겠지만 근복적인 치료방법이 되지 못합니다.

 


 

 

  안구건조증 예방법 

 

 

 

▷ 컴퓨터나 TV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매 시간마다 10분씩 쉬는 것이 좋습니다.

 

▷ 눈이 피로하지 않게 자주 휴식을 취해 눈의 피로를 풀어줍니다.

 

▷ 여름철의 경우 지나친 에어컨 사용을 삼가며 겨울철에는 실내 온도를 낮추고 가습기 등의 사용으로 습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 한 곳에 너무 집중해 눈을 자주 깜빡이지 않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의식적으로라도 눈을 깜빡여 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안구건조증 증상의 완화를 위해 하루에 8~10컵 정도의 물을 마셔 충분한 수분이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구건조증이 있을 때 국화차나 결명자를 보리차처럼 끓여서 수시로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 평상시 비타민이 많이 함유된 과일과 야채 등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평상시 스트레스를 피하며 잠을 충분히 자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