쯔쯔가무시 증상과 예방법 알려드립니다!
쯔쯔가무시병 |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진드기의 유충이 피부에 들러붙어 피를 빨아먹고 그 부위에 딱지(가피)를 동반한 궤양이 나타나는 병입니다. 야생들쥐 등에 기생하는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어 감염됩니다. |
10∼11월 쯔쯔가무시균 매개체 분포율 가장 높아다고 합니다. 야외활동이 잦은 가을철을 맞아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광주·전남에서 매년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 건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실제 2014년 1천719명에서 2015년 2천155명으로 급증했다고 합니다. 올해의 경우 9월까지 288명으로 집계됐다고 합니다.
쯔쯔가무시병의 환자발생 시기가 9월부터 증가해서 주로 10월과 11월에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10월과 11월의 발생건수가 전체 발생건수의 약 88%를 차지한다고 하니 앞으로 발생건수가 더 늘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쯔쯔가무시병을 매개하는 털진드기 수도 이 시기에 급증한다고 합니다. 야생들쥐 한 마리당 기생하는 털진드기는 지난해 9월 10.5이던 것이 10월에 107.4로 10.2배나 급증했고, 올해도 19.8에서 93.2로 4.7배 증가했다고 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쯔쯔가무시 잠복기
잠복기는 6일에서 21일까지 다양한 편입니다. (보통 10일에서 12일 정도라고 합니다.)
쯔쯔가무시 증상
잠복기가 지나고 나면 발열과 발한 두통 경막충혈 림프절이 커지거나 비대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발열이 시작되고 난 후 1주일 정도 지나면 적색의 반점과 같은 구진이 몸통에서 나타나 사지로 퍼져 나가며 수일 내에 사라진다고 합니다. 감염자들의 대부분은 피부에 딱지(가피)가 생깁니다. 구토나 구역질 설사 같은 증상이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쯔쯔가무시 예방하기
쯔쯔가무시증 백신이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야외활동 때는 반드시 긴소매와 긴바지, 양말을 착용하고, 풀밭에 함부로 눕거나 옷을 벗어서 내려놓지 않고 돗자리나 신문지 등을 이용하는 등 풀과 직접적인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쯔쯔가무시 전염
사람 사이에 전파되지 않기 때문에 환자의 격리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병의 증상과 화병에 좋은 음식 알려드릴께요. (0) | 2016.10.28 |
---|---|
월경전증후군의 증상과 자가진단법 알려드릴께요. (0) | 2016.10.22 |
암 예방 컬러푸드 알고 계신가요? 챙겨 드세요! (0) | 2016.10.19 |
잠 잘자는 방법 알려드릴께요 (0) | 2016.10.19 |
자궁내막증 증상을 알고 계신가요? (0) | 2016.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