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우특보 시 주의사항
호우특보 시 국민행동요령
· 호우예보 때는
-
- 주택의 하수구와 집주변의 배수구를 점검합시다.
-
- 침수나 산사태 위험지역 주민은 대피장소와 비상연락방법을 미리 알아둡시다.
-
- 하천에 주차된 자동차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시다.
-
- 응급 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등은 미리 준비해둡시다.
-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
- 침수 시 피난 가능한 장소를 동사무소나 시ㆍ군ㆍ구청에 연락하여 알아 둡시다.
-
- 대형공사장, 비탈면 등의 관리인은 안전 상태를 미리 확인합시다.
-
- 가로등이나 신호등 및 고압전선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
- 공사장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운행 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줄여주세요.
-
- 천둥ㆍ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지역으로 대피합시다.
-
- 물에 떠내려갈 수 있는 물건은 안전한 장소로 옮깁니다.
-
- 송전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ㆍ군ㆍ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
- 건물의 출입문이나 창문을 닫아둡시다.
-
-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 물에 잠긴 도로로 지나가지 맙시다.
-
- 대피할 때 수도와 가스 밸브를 잠그고, 전기차단기를 내려둡시다.
-
-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호우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 도시지역에서는..
-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
- 대형공사장, 비탈면 등의 관리인은 안전 상태를 미리 확인합시다.
-
- 가로등이나 신호등 및 고압전선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
- 공사장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도로에 있는 차량은 속도를 줄여서 운전합시다.
-
- 천둥ㆍ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지역으로 대피합시다.
-
- 물에 떠내려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안전한 장소로 옮깁니다.
-
- 송전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ㆍ군ㆍ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
- 건물의 출입문이나 창문을 닫아둡시다.
-
-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 물에 잠긴 도로로 지나가지 맙시다.
-
- 대피할 때 수도와 가스 밸브를 잠그고, 전기차단기를 내려둡시다.
-
-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호우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
- 농작물을 보호하려는 조치를 취합시다.
-
- 집주변이나 농경지의 용ㆍ배수로를 미리 점검합시다.
-
- 산간계곡의 야영객은 미리 대피합시다.
-
- 이웃이나 가족 간의 연락방법과 비상시 대피방법을 확인합시다.
-
- 농기계나 가축 등을 안전한 장소로 옮깁시다.
-
- 비닐하우스, 인삼재배시설 등을 단단히 묶어 둡시다.
-
- 농촌지역에서는..
-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
- 집주변의 산사태 위험이 있는지 살피고 대피 준비를 합시다.
-
- 고압전선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
- 천둥ㆍ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지역으로 대피합시다.
-
- 물에 떠내려갈 수 있는 물건을 안전한 곳으로 옮깁시다.
-
-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하천의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하여 농경지의 침수를 예방합시다.
-
- 논둑을 미리 점검하시고 물꼬를 조정합시다.
-
- 다리는 안전한지 확인 후에 이용합시다.
-
-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는 비탈면에 접근하지 맙시다.
-
- 송전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ㆍ군ㆍ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
-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호우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
- 해안지역에서는..
-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
- 해안가의 위험한 비탈면에 접근하지 맙시다.
-
-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 하지 마시고, 지하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합시다. -
- 가로등과 고압전선 근처에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
- 공사장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해안도로로 운전하지 맙시다.
-
- 천둥ㆍ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지역으로 대피합시다.
-
- 육지의 물이 바다로 빠져나가는 곳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송전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ㆍ군ㆍ구청 또는 한전에
연락합시다. -
- 출입문, 창문 등을 잠급시다.
-
- 다리는 안전한지 확인한 후에 이용합시다.
-
-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호우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
- 바닷가의 저지대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
- 물에 떠내려갈 수 있는 어망ㆍ어구 등을 안전한 곳으로 옮깁시다.
-
- 해수욕장 이용은 하지 맙시다.
산악지역에서는..
-
-
- 산사태 발생지역의 주민은 대피 준비를 합시다.
-
- 재배시설 등의 피해를 줄이려고 조치를 합시다.
-
- 기상정보와 강우상황을 주의 깊게 들읍시다.
태풍특보 시 국민행동요령
· 태풍이란?
· 태풍 오기 전에는
-
- TV나 라디오를 수신하여 태풍의 진로와 도달시간을 숙지합시다.
-
- 가정의 하수구나 집주변의 배수구를 점검하고 막힌 곳을 뚫어야 합니다.
-
- 침수나 산사태가 일어날 위험이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은 대피장소와 비상 연락방법을 미리 알아둡시다.
-
- 하천 근처에 주차된 자동차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시다.
-
- 응급 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등의 생필품은 미리 준비합시다.
-
-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창문, 출입문 또는 마당이나 외부에 있는 헌 가구, 놀이기구, 자전거 등 바람에 날릴 수 있는 것 등을 단단히 고정합시다.
-
-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
- 운전 중일 경우 감속운행합시다.
-
- 천둥ㆍ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
- 송전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ㆍ군ㆍ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
- 고층아파트 등 대형ㆍ고층건물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유리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젖은 신문지, 테이프 등을 창문에 붙이고 창문 가까이 접근하지 맙시다.
-
-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 물에 잠긴 도로로 걸어가거나 차량을 운행하지 맙시다.
-
-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 물에 잠긴 도로로 지나가지 맙시다.
-
- 대피할 때에는 수도와 가스 밸브를 잠그고 전기차단기를 내려둡시다.

- 도시지역에서는..
-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
-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
- 운전 중일 경우 감속운행합시다.
-
- 천둥ㆍ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
- 간판, 창문 등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합시다.
-
- 송전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ㆍ군ㆍ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
- 집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가 둡시다.
-
-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 대피할 때에는 수도, 가스, 전기는 반드시 차단합시다.
-
-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
- 농촌지역에서는..
-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
- 집주변의 산사태 위험이 있는지 살피고 대피 준비를 합시다.
-
- 고압전선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
- 천둥ㆍ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지역으로 대피합시다.
-
- 물에 떠내려갈 수 있는 물건을 안전한 곳으로 옮깁시다.
-
-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하천의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하여 농경지의 침수를 예방합시다.
-
- 논둑을 미리 점검하시고 물꼬를 조정합시다.
-
- 다리는 안전한지 확인 후에 이용합시다.
-
-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는 비탈면에 접근하지 맙시다.
-
- 송전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ㆍ군ㆍ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
-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호우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
- 집주변이나 경작지의 용·배수로를 점검합시다.
-
- 산간계곡의 야영객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
- 비닐하우스 등의 농업시설물을 점검합시다.
-
- 해안지역에서는..
-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
- 해안가의 위험한 비탈면에 접근하지 맙시다.
-
-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하지 마시고, 지하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합시다.
-
-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
-
- 공사장 근처에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해안도로로 운전하지 맙시다.
-
- 천둥ㆍ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지역으로 대피합시다.
-
- 간판, 창문 등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합시다.
-
- 육지의 물이 바다로 빠져나가는 곳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송전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ㆍ군ㆍ구청 또는 한전에 연락합시다.
-
- 출입문, 창문 등을 잠급시다.
-
- 다리는 안전한지 확인한 후에 이용합시다.
-
-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 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와 호우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
- 바닷가의 저지대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
- 물에 떠내려갈 수 있는 어망ㆍ어구 등을 안전한 곳으로 옮깁시다.
-
- 해수욕장 이용은 하지 맙시다.
-
- 도시지역에서는..
-
-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하지 마시고, 지하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과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주택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
- 건물의 간판 및 위험시설물 주변으로 걸어가거나 접근하지 맙시다.
-
- 고층아파트 등 대형ㆍ고층건물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유리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젖은 신문지, 테이프 등을 창문에 붙이고 창문 가까이 접근하지 맙시다.
-
-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
-
-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물이 넘쳐서 흐르는 것을 막읍시다.
-
- 바람에 날아갈 물건이 집주변에 있다면 미리 제거합시다.
-
- 도로에 있는 차량은 속도를 줄여서 운전합시다.
-
- 아파트 등 고층건물 옥상, 지하실과 하수도 맨홀에 접근하지 맙시다.
-
- 정전 때 사용 가능한 손전등을 준비하시고 가족 간의 비상연락방법과 대피 방법을 미리 의논합시다.
-
- 농촌지역에서는..
-
- 주택주변의 산사태 위험이 있으면 미리 대피합시다.
-
-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하천물이 넘쳐서 흐르지 않도록 하여 농경지 침수를 예방합시다.
-
- 위험한 물건이 집주변에 있다면 미리 제거합시다.
-
- 논둑을 미리 점검하시고 물꼬를 조정합시다.
-
- 다리는 안전한지 확인한 후에 이용합시다.
-
-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는 비탈면 근처에 접근하지 맙시다.
-
- 이웃이나 가족 간의 연락방법과 비상시 대피방법을 확인합시다.
-
- 농기계나 가축 등을 안전한 장소로 옮깁시다.
-
- 비닐하우스, 인삼재배시설 등을 단단히 묶어 둡시다.
-